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메인화면으로
  • 전시
  • 특별전시

특별전시

  • 프롤로그
  • 1부_ 나는 당신의 아들
  • 2부_꿈 많았던 소년
  • 3부_이 땅의 일꾼으로
  • 4부_사랑하는 이를 만나고
  • 5부_아버지가 되었으나
  • 6부_전쟁의 소용돌이 속으로
  • 에필로그_그리움을 담아


잊혀져간 삶의 기억


그러하다 인생은 기억, 기억은 잔회(殘灰)

쓸 데도 없는 지나간 꿈은 지금 와서

나의 불서러운 이 몸을 붙잡고

이리도 괴롭히며, 이리도 압하랴.



그러면 나는 이르노니

인생은 꿈, 꿈은 망각의

슬어져 자취없을 그것이라고

가을 지고 겨울 와서 해조차 바뀌는 때의



- 김억(金億, 1896~1950 납북)의 時- 출처 : 조철, 󰡔죽음의 세월󰡕(성봉각, 1963)

  • 프롤로그
프롤로그 이미지

6‧25전쟁 중 문화예술계 인사를 비롯한 정치‧법조인, 경찰 공무원, 전문기술직 종사자, 그리고 평범한 농민, 심지어 학생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이들이 북으로 사라졌다. 납북과정에서 사망하였거나, 생존하였더라도 그들의 삶이 현재까지 분명하게 전해지지는 않는다. 남은 가족들은 사랑하는 이를 잃은 울분과 서러운, 한없는 그리움, 월북이라는 오해와 불명예 속에서 고통의 70년을 감내해 왔다. 그들의 얼룩진 상처를 위로하고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국립6·25전쟁납북자기념관에서는 납북자 가족들로부터 기증받은 소중한 유물들로 납북자들의 삶을 조명하고자 이번 전시를 준비했다. 전시된 사진 속에는 학창시절의 꿈과 해맑은 소년의 천진스러움, 저마다의 일터에서 쌓아온 열정, 앳된 부부의 설렘, 어린 자녀에 대한 지극한 사랑, 부모에 대한 한없는 존경 등, 인생의 매순간을 차지했던 행복의 모습들이 담겨져 있다.

광복 후 좌‧우 이념대립과 새로운 국가건설을 향한 대혼란의 시기 속에서도 저마다 주어진 삶을 열심히 살아갔던 그들. 평범하였으나 특별했고, 치열하였으나 여유로웠을 그 시절은,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결국 잊혀져간 삶이 되고 말았다.

1950년 6월 무더웠던 여름이 가고, 서늘한 가을은 지고, 매서운 겨울이 와서 해조차 바뀌어가도, 결코 잊히지 말아야할 ‘못 다한 시절’을 그들이 거쳐 갔을 이곳 임진강 기슭에서 조심스레 펼쳐본다.

  • 1부_ 나는 당신의 아들
1부_ 나는 당신의 아들 이미지

대한제국말기와 일제강점기에 태어난 우리는 누군가는 집안의 희망인 아들로 누군가는 대를 이어야 하는 귀한 자손으로 누군가는 아버지를 대신하여 집안을 이끌어야할 가장으로 세상에 존재했다.

태어나고 자란 환경은 모두 달랐지만 부모와 가족이라는 울타리 속에서 마냥 행복하기만을 바랬다.

  • 1.곽노신의 가족사진 1940년대초 곽홍신 기증
  • 2.손영진과 어머니 사진 1930년대 손영애 기증
  • 3.이규호의 가족사진 1943년경 이종열 기증
  • 4.하격홍과 어머니 사진 1947년 하영남 기증
  • 2부_꿈 많았던 소년
2부_꿈 많았던 소년이미지

소년시절 우리는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일찍부터 생업에 종사하거나, 형편이 되어 학교를 다니며 각자의 꿈을 이야기하며 미래를 향해 달려 나갔다.

그러나 태평양 전쟁이 시작되어 누군가는 토목공사나 송탄유채집에 강제 동원되기도 했으며 학도병 지원을 강요받기도 하였다.

그 암울했던 식민지 조국에서 황국의 신민이 아닌 독립된 나라의 주인이 되고자 하는 열망은 하나였다.

  • 1.주문진수산중학교 제2회 수료기념사진 1950년 김영기 기증
  • 2.탁용규와 친구들의 사진 1940년대 후반 탁원수 기증
  • 3.인천상업전수학교 제2회 졸업앨범 1943년 윤병조 기증
  • 4.윤삼식의 통신부 1936년 윤병조 기증
  • 5.정창화의 졸업증서 1941년 정대화 기증
  • 3부_이 땅의 일꾼으로
3부_이 땅의 일꾼으로  이미지

1945년 8월 15일 광복의 기쁨과 새나라 건설의 희망 속에서

누군가는 여론을 대변하는 정치인으로
시국(時局)에 관한 보도를 담당하는 언론인으로
대대로 가업인 토지를 일구는 농업인으로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으려는 학자로
마음을 달래주는 문화예술인으로
학생들에게 지식과 생활태도를 가르치는 교사로
다치고 아픈 사람을 치료하는 의사로
전문지식을 가진 기술자로

각자의 위치에서 열심히 노력했을 것이다.

  • 1.최영수의 노점상 취재 사진 1933년~1935년 최영재 기증
  • 2.김하준과 동료들 사진 1949년 김하겸 기증
  • 3.임원택의 명함 1940년대 임수민 기증
  • 4.심재욱의 운전면허증 1947년 심재만 기증
  • 5.손영진의 신분증 1949년 손영애 기증
  • 4부_사랑하는 이를 만나고
4부_사랑하는 이를 만나고 이미지

어지러운 세상 속에서도 남녀 간의 사랑은 꽃피고 우리는 결혼을 했다. 사진 한 장으로 혼담이 오가기도 하고 일터에서 만난 여인에게 청혼하기도 했다.

마을 회관에서, 또는 예배당에서, 혹은 집 앞마당에서 아름답게 성장(盛粧)한 그녀 앞에서 평생을 함께하자는 약속을 했다.

결혼 후 지방 근무로 떨어져 살거나 생계에 어려움이 있을 때도 내 아내에 대한 사랑만은 결코 변하지 않았다.

  • 1.김주완의 결혼사진 1943년 김피득 기증
  • 2.김정대의 결혼사진1940년대 김은호 기증
  • 3.황갑성의 신혼여행 사진 1940년대 황광균 기증
  • 4.5.6.김백이 아내에게 보낸 엽서 1950년 김영자 기증
  • 5부_아버지가 되었으나
5부_아버지가 되었으나 이미지

전쟁이 발발한 뒤 미처 피난을 가지 못한 우리는 표적이 되었다.

이 나라에 한 치 잘못한 일이 없으니 아무 일 없을 거라는 굳은 신념도, 지인과 함께 뒷방 벽장 속에서 숨죽이며 무사하기를 바라던 희망도, 허위로 자술서를 써서라도 가족에게 돌아갈 수만 있길 기도했던 그 간절함도, 설마 아픈 이 몸을 끌고 가겠냐는 인간적인 믿음도

무자비한 이념의 굴레 속에서 한 순간의 연기처럼 사라졌다.

“내 아들아, 딸아, 그리고 여보 나 금방 다시 돌아올게“

  • 1.김주현의 그릇과 수저 김택성 기증
  • 2.김우순의 안경과 사진 1911년~1950년 김형목 기증
  • 3.백일룡의 가족사진 1948년 백성우 기증
  • 4.유인선의 가족사진 1949년~1950년 유근일 기증
  • 6부_전쟁의 소용돌이 속으로
6부_전쟁의 소용돌이 속으로 이미지

“9월 20일 밤 수감자들은 끌려나와 열 명씩 결박을 당한 후 북한군의 삼엄한 감시 하에 긴 죽음의 행렬을 지었다. 서울 종로, 창경원 앞, 혜화동을 지나 돈암동을 거쳐 미아리로 해서 10월 초순까지 십여 일 동안 도보로 끌려갔다. 이 과정에서 오래 갇혀 있었던 몸이라 보행이 어려웠고 체포될 때 입었던 남루한 여름 옷 바람에 맨발로 끌려가다 혹시 쓰러지는 사람이 있으면 채찍과 총대로 사정없이 맞아야 했다. 맞은 사람은 고꾸라졌다가 매에 못 이겨 벌떡 일어나는 죽음의 납북 길이었다.”

- 납북자 채대식의 탈출 증언 『나는 이렇게 살았다』 , 을유문화사, 1988 -

  • 에필로그_그리움을 담아
에필로그_그리움을 담아 이미지

아버님은 형세가 이미 기운 것을 아셨기 때문에 식사하시다 말고 피할 겨를도 없이 ‘내가 죄 지은 게 없으니 얘기하면 바로 나올 거다’고 말씀하고 나가신 게……. 그게 끝이야.

- 김기정(납북자 김재조의 아들) 증언 -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