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바일
-
정보마당
-
납북자 현황
납북자 현황
납북자 현황
- - 북한은 6·25 전쟁 중 정치적 목적으로 상당수의 유력인사를 납치하는 한편, 부역동원 및 인민군 충원(의용군)을 위해 다수의 인원을 강제 동원한 것으로 추정
- - 전쟁발생 직후부터 1963년까지 납치가족 및 정부차원에서 수차례에 걸쳐 납치자 명부를 작성
* 6·25 전쟁 납북자 주요 명부
6·25 전쟁 납북자 주요 명부(No, 명부명, 작성주체, 시기, 인원, 접수상태)
No. |
명부명 |
작성주체 |
시기 |
인원 |
접수상태 |
1 |
서울시 피해자 명부 |
공보처 통계국 |
'50 |
2,438명 |
O |
2 |
6·25사변 피랍치자 명부 |
공보처 통계국 |
'52 |
82,959명 |
O |
3 |
6·25사변 피랍치자 |
내무부 치안국 |
'52 |
(126,325명) |
X |
4 |
6·25사변 피랍치자 명부 |
공보처 통계국 |
'53 |
(84,532명) |
X |
5 |
6·25등론으로 인한 피랍치자 명부 |
내무부 치안국 |
'54 |
17,532명 |
O |
6 |
실향시민 등록자 명단 |
공보처 통계국 |
'56 |
7,034명 |
O |
7 |
실향시민 명부 |
국방부 |
'63 |
11,700명 - |
1권 O 2권 X |
- 1번 : 서울지역에 국한, 유명인사 위주로 작성
- 2번 : 휴전회담 협상용으로 전국 기초행정조직을 활용하여 작성
- 3번 : 국무회의에 숫자가 인용되어 있으나 실제 명부는 미발견
- 4번 : 2번 명단을 추가 보완하여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나 실제 명부는 미발견
- 5번 : 의용군 제외, 세대주 중심으로 작성
- 6번 : 국제적십자사를 통한 안부의뢰를 위해 대한적십자사가 2달간 가족 신고를 받아 작성
- 7번 : 국방부(군정위 대한민국 군대표단) 작성, 제1권 11,700명 수록 명단만 발견
- - 기 발견된 명부를 기준으로 가족단체에서 추정하는 납북자는 96,013명
* 시도별 납북자 통계
6·25 전쟁 납북자 주요 명부
합계 |
서울시 |
경기도 |
강원도 |
충청도 |
경상도 |
전라도 |
96,013 |
22,348 |
18,270 |
11,375 |
23,664 |
9,503 |
10,853 |